스킵네비게이션

'의열의불꽃'
의열기념공원
의열기념공원
"의열(義烈)"의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독립운동의 참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전국 최초로 건립된 기념관입니다.
'의열의 불꽃'이라는 주제로 대표적
의열활동 단체인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의
항일의열활동을 구현한 체험관입니다.
의열체험관 예약안내
독립투사의 의열활동을 체험해보세요.
관람시간 : 10:00~17:30 (마지막 입장 16:45)
휴관일 : 1월 1일 / 설날·추석 당일 /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국경일인 경우 개관, 다음날 휴관)
055-359-4733

의열단 창립단원

더보기
김원봉(金元鳳, 1898 ~ 미상)

김원봉(金元鳳, 1898 ~ 미상) 아호는 약산(若山)이고, 중국에서는 진국빈(陳國斌) 등의 가명도 썼다. 1898년 음력 3월 14일 밀양군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901번지에서 김주익의 9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0년 밀양공립보통학교 재학 중 일장기 모독의 의거를 벌여 퇴학당하고 을강 전홍표가 교장인 동화학교를 거쳐 서울의 중앙학교와 중국 천진의 덕화학당 등에서 수학했다. 1919년 만주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 간부인 고모부 황상규의 지도대로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배우면서 동지들을 규합하고, 졸업 후 길림으로 데리고 가 11월 10일 의열단을 창립하고 단장이 되었다. 그로부터 1926년까지 사이에 상해·북경·천진 등지에 거점을 두고 세 차례 추동한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비롯하여 23차례의 크고 작은 대일거사를 의열단이 기획하고 벌여나간 과정을 총지휘하였다. 1926년 의열단의 노선을 군사·정치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단원들과 함께 광동성 광주의 황포군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1929년 북경에서 레닌주의정치학교를, 1932년에는 남경에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이 되고, 근 150명의 항일투사 겸 장래의 민족간부를 양성해냈다. 1935년 7월 5일 남경에서 국외지역 9개 독립운동단체들의 일대 통합체로 ‘민족혁명당’이 창립됨을 주도하여 의열단을 해체하고, 당 서기부장을 거쳐 총서기가 되어 실권을 쥐었다. 중일전쟁 발발 1년 후인 1938년 10월 무한에서 중국관내 최초의 한인부대인 ‘조선의용대’를 창설하여 총대장이 되었고, 그 후로 중국군의 대일항전을 지원하면서 대적선전공작에서 탁월한 성과를 올려갔다. 1941년 조선의용대 병력의 상당수를 북상시켜 화북지역에서 대일작전을 벌여가도록 했으며, 화중·화남지역의 잔여 부대원을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재편하고 광복군 부사령 겸 제1지대장이 되었다. 임시의정원 의원을 거쳐 1944년에는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군무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조국과 고향을 떠난 지 29년 만인 1945년, 8.15 해방을 맞으니 부인 박차정의 유골을 안고 12월 2일에 환국하였다. 그 후 통일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진력하다 미군정의 탄압이 심해지자 1948년경 북으로 갔고, 언제 생을 마쳤는지는 미상이다. 아직 독립유공자로 서훈 받지 못했으나, 영화 <암살>로 그의 이름이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강세우(姜世宇, 1901~ ?)

강세우(姜世宇, 1901~ ?) 본명은 강비호돌(姜飛虎乭)이고, 일제 첩보문서에 강세위(姜世偉)로 적힌 경우도 있다. 1901년 8월 12일, 함경남도 삼수군 삼남면 중평장리에서 태어났다. 1918년경 만주로 건너가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하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분교의 속성과정으로 이성우·이종암 등과 함께 옮겨갔고, 거기서 만난 김원봉과 뜻이 통하여 장차 행동을 같이하기로 약속하였다. 10월에 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상해로 가서 영어전수학교를 거쳐 중화대학에 입학하였고, 12월에 김원봉·곽재기 등이 한 달 전 창립한 의열단의 제1차 국내의거를 위한 폭탄을 구입코자 상해로 갔을 때 재회하고 합류하여 단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남경 금릉대학에도 다녔다고 하며, 1925년에는 광동성 광주로 가서 중산대학 정치과에 입학하였다. 거기서 중국·인도·베트남·타이완 출신의 반제·반일 활동가들과 함께 ‘피압박민족연합회’를 조직하고 대표가 되었으며, 1926년 8월 중산대학에서 열린 국치기념대회를 회장이 되어 주관하였고, 11월에는 의열단 제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회 서무부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 직후 중국 국민혁명군의 장교가 되어 김원봉과 함께 무한(武漢) 방면으로 가서 북벌전에 참가하다 1927년 북경으로 옮겨가 의열단 지부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28년 중국군의 영관 장교로 복무 중이었음을 끝으로 그 후의 행적과 몰년은 미상이다.
김상윤(金相潤, 1897~1927)

김상윤(金相潤, 1897~1927) 호는 초산(楚山)이고, 김옥(金玉/金鈺) 외의 여러 가명을 쓰면서 활동하였다. 1897년 9월 12일 밀양군 상남면 기산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동화학교에 들어가 강제폐교되기 전의 1년 동안 전홍표·김대지·황상규의 가르침을 받았고, 1914년 서울로 가서 중앙학교와 배재학교에서도 수학하였다. 1919년 3월경 만주로 망명하여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6개월 단기과정을 이수하던 중에 동화학교 동창인 김원봉을 만나 의기상통을 재확인하였다. 졸업 후 10월에 김원봉 등 여러 졸업생 동지들과 함께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에 합류하여 폭탄 제조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되어 바로 추진되어간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에 동참키 위해 1920년 3월경 밀입국하였고, 부단장 곽재기로부터 투탄조의 일원으로 지명 받아 서울에서 은신 대기하였다. 그러나 거사계획이 밀고에 의해 경찰에 탐지되어 6월 하순부터 동지들이 연이어 붙잡혀가니 재빨리 피신하여, 외가가 있는 밀양군 초동면의 야산에 이종암과 함께 몸을 숨겼다. 그 해 8월경에 동화학교 동창생 최수봉을 기산리 묘지에서 만나 독립운동 참여를 권하고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질 것을 제의하여 승낙 받았다. 그 후 12월에 밀양읍내의 고인덕을 만나 폭약 제조를 의뢰하고, 외피는 산중 암굴에서 이종암과 함께 만들어 폭탄 2개를 조립해냈다. 그것을 최수봉에게 건네주니 12월 27일 밀양경찰서 투탄의거가 감행되었다. 그 후 중국 북경으로 탈출하여 의열단 본부에 합류해 있다가 1923년 상해로 옮겨갔고, 기밀부원으로서 간부진의 일원이 되었다. 1924년 3월에 실행부 단원 2명을 데리고 일본으로 잠입하여 거사를 벌이려 했는데, 자금부족으로 실행이 안 되었다. 1925년 가을, 의열단의 운동노선 조정과 더불어 김원봉을 비롯한 단원 대부분이 황포군관학교에 입학코자 광동성 광주로 이동해 갈 때, 종래의 투쟁노선 고수를 주장하며 반대하고 동행하지 않았다. 그리고는 복건성 하문을 거쳐 천주의 설봉사로 들어가 있다가 1927년 10월 19일 세상을 떠났다. 1968년 건국공로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으로 서훈 승격되었다. 그리고 후손들이 2005년 기산리 입구와 2015년 설봉사에 기념비를 세웠다.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명은 이동소(李同韶)이고, 李誠宇로 표기되기도 했다. 원적은 함경북도 경원군 송하면 송하리인데, 중국 길림성 동녕현 소수분에서 이주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성장하였다. 결혼하고 얼마 후인 1918년에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하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분교의 속성과정으로 옮겨갔다. 거기서 만나 의기투합한 김원봉의 권유로 교관 서상락 및 졸업생 김상윤·이종암 등의 동지들과 함께 10월에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에 합류한 후 폭탄 제조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된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위해 12월에 김원봉 등과 함께 상해로 가서 16개의 폭탄 제조용 탄피 및 폭약과 권총 2정 및 탄환 100발을 구입하여 안동현으로 운반하고 국내로 밀송되게끔 했다. 1920년 5월에 서울로 잠입하여 거사결행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중, 첩보를 입수하고 검거에 나선 경기도경찰부에 은신처인 인사동 여관이 6월 20일 급습당하여 최초의 피체 단원이 되고 말았다. 단장 김원봉의 신임이 두터운 선임단원으로서 활동이 많았고 적극적이었던 만큼 ‘수범’(首犯)으로 지목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8년형을 언도받아 함경북도 청진감옥에서 복역하였다. 거기서 김재봉 등 장기수 3인과의 공모로 1922년 8월 20일 탈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다시 붙잡혔다. 1928년 3월 8일 경성형무소에서 출옥하였다. 옥중에서 3년간 앓은 복막염과 늑막염으로 너무 쇠약해진 몸이라 바로 귀향하질 못하고 밀양의 동지들에게로 가서 요양하던 중 1929년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Play 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