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의열의불꽃'
의열기념공원
의열기념공원
"의열(義烈)"의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독립운동의 참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전국 최초로 건립된 기념관입니다.
'의열의 불꽃'이라는 주제로 대표적
의열활동 단체인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의
항일의열활동을 구현한 체험관입니다.
의열체험관 예약안내
독립투사의 의열활동을 체험해보세요.
관람시간 : 10:00~17:30 (마지막 입장 16:45)
휴관일 : 1월 1일 / 설날·추석 당일 /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국경일인 경우 개관, 다음날 휴관)
055-359-4733

의열단 창립단원

더보기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성우 (李成宇, 1899 ∼ 1929) 이명은 이동소(李同韶)이고, 李誠宇로 표기되기도 했다. 원적은 함경북도 경원군 송하면 송하리인데, 중국 길림성 동녕현 소수분에서 이주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성장하였다. 결혼하고 얼마 후인 1918년에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의 신흥무관학교에 들어가 수학하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분교의 속성과정으로 옮겨갔다. 거기서 만나 의기투합한 김원봉의 권유로 교관 서상락 및 졸업생 김상윤·이종암 등의 동지들과 함께 10월에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에 합류한 후 폭탄 제조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된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위해 12월에 김원봉 등과 함께 상해로 가서 16개의 폭탄 제조용 탄피 및 폭약과 권총 2정 및 탄환 100발을 구입하여 안동현으로 운반하고 국내로 밀송되게끔 했다. 1920년 5월에 서울로 잠입하여 거사결행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중, 첩보를 입수하고 검거에 나선 경기도경찰부에 은신처인 인사동 여관이 6월 20일 급습당하여 최초의 피체 단원이 되고 말았다. 단장 김원봉의 신임이 두터운 선임단원으로서 활동이 많았고 적극적이었던 만큼 ‘수범’(首犯)으로 지목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8년형을 언도받아 함경북도 청진감옥에서 복역하였다. 거기서 김재봉 등 장기수 3인과의 공모로 1922년 8월 20일 탈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다시 붙잡혔다. 1928년 3월 8일 경성형무소에서 출옥하였다. 옥중에서 3년간 앓은 복막염과 늑막염으로 너무 쇠약해진 몸이라 바로 귀향하질 못하고 밀양의 동지들에게로 가서 요양하던 중 1929년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김대지(金大池, 1891~1943)

김대지(金大池, 1891~1943) 金大地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호는 일봉(一峰)이고 김태일(金太一)·김치환(金致煥) 등의 여러 이명을 쓰기도 했다. 1891년 10월 7일 밀양도호부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847번지에서 태어났다. 10대 후반에 사립 동화학교를 다녔고, 1910년 경술국치 후 전홍표 교장의 발탁으로 중학과정의 동화학교 교사가 되어 인재양성의 일익을 담당했다. 김원봉·김상윤·최수봉 등이 그때의 제자들이었다. 1913년경 밀양에서 구영필·이수택·황상규 등과 함께 일합사를 설립하여 항일운동 조직으로 운영하다 1918년 2월경 경찰에 체포되었고, 손톱 여덟 개가 뽑히는 고문을 당한 끝에 기소된 후 4개월 징역형을 언도받아 평양감옥에서 복역하였다. 출옥 후 구영필과 함께 만주로 건너가 봉천 등지에서 재류하고 있다가, 1919년 3월경 상해로 가서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임시헌장 제정에 참여했고, 임시정부 내무부의 9인 위원 중 1인으로도 선임되었다. 11월에는 국내조사원으로 밀양에 특파되어 몇몇 재산가들로부터 군자금을 헌납 받아 상해로 갖고 갔다. 1920년 3월, 의열단의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을 위한 무기류 구입을 위해 길림에서 상해로 온 김원봉 등 단원 4인을 도와 폭약과 탄피 구입이 가능토록 해주고, 프랑스조계 보창로의 자기 집에서 폭탄 3개를 완제토록 하였다. 또한 폭탄을 국내로 밀반입코자 안동현으로 우송하는 데도 편의를 제공하였다. 1923~24년에도 상해에서 김원봉에게 의열단의 활동계획에 관해 매번 상의를 받고 의견을 내주는 고문 역할을 맡아했으며, 인각에 능한 특기를 발휘하여 ‘의’(義) 자의 윗변에 해당하는 양(羊)의 형체를 그려 넣은 의열단의 비밀인장도 고안해주었다. 이렇게 밀양 출신 청년 독립투사들의 맏형 격 위치에서 후배들을 이끌고 지도하여 의열투쟁의 새 장을 열게끔 해주고 있던 그는 1926년 문창범의 초청을 받고 러시아로 가려다 구영필의 요청으로 만주 영안현 영고탑으로 가서 머물러있게 되었다. 거기서 한동안 민족유일당운동에 진력하다 1933년 아성현 취원창으로 옮겨가 극빈 속에 한의술을 베풀며 살던 중, 1943년 음력 10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1963년 건국공로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으로 서훈 승격되었다. 취원창의 묘지가 옥수수 밭으로 바뀌어 유해를 찾을 수 없게 되니, 2003년에 경주 인근의 신선사 옆에 유족이 가묘를 조성하였다.
이종암(李鍾岩, 1896~1930)

이종암(李鍾岩, 1896~1930) 본명은 이종순(李鍾淳)이고, 외가 성을 따서 양건호(梁建浩)·양주평(梁州平)·양근오(梁槿吾) 등의 가명을 만들어 썼다. 1896년 음력 1월 12일, 대구부 대구군 해북촌면 백안동(현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하급 이관(吏官)의 2남 5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구공립보통학교 졸업 후 들어간 대구농림학교와 부산상업학교를 학비 조달이 어려워 잇달아 중퇴하였다. 그 후 독학하다 1914년 고모부의 후견으로 대구은행에 취직하고 1년 후 출납계 주임으로 승진하여 결혼도 했다. 1917년 12월 은행에 입금된 1만 5백여 원의 거금을 빼돌려 잠적했다가 이듬해 2월 중국으로 탈출하여 만주 봉천에서 만난 구영필(具榮佖)에게 7천원을 독립운동자금으로 맡기고 4월에 봉천성 통화현 합니하로 가서 신흥중학교에 편입학하였다. 1919년 5월 길림성 유하현 고산자에 신설된 신흥무관학교로 옮겨갔고, 거기서 만난 김원봉의 권유에 응해 10월에 동창생 졸업자들과 함께 길림으로 가서 합숙하며 폭탄 제조법과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동참하였다. 12월에 국외망명 때의 휴대금 중 잔액 3천원을 창단 직후 기획된 제1차 국내의거용 폭탄 등의 구입비로 제공하여 단장 김원봉 등이 상해로 내려가 무기류를 구입할 수 있게끔 도왔다. 거사계획 실행을 위해 1920년 3월부터 속속 밀입국한 거개의 단원들과는 달리 단장의 명으로 상해에 잔류해 있다가, 거듭 지연되는 거사계획 추진실황의 점검을 명받아 1920년 7월 밀입국하였다. 단원 대부분이 경찰에 피체되었음을 알고는 남은 단원만으로라도 결행할 것을 시도했으나, 구영필의 사주를 받은 폭탄 관리자 이수택(李壽澤)의 비협조로 실패하였다. 그 후 김상윤(金相潤)과 함께 밀양에 은신해 있던 중 만난 최수봉(崔壽鳳)에게 고인덕(高仁德)과 함께 제조한 폭탄 2개를 제공하여 12월 27일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를 실행케 하였다. 그리고는 서울로 옮겨가 은신해 있다가 1921년 12월 중국으로 탈출하여 북경의 단 본부로 가서 합류하였다. 1922년 3월 28일, 일제 군부의 거물인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대장을 암살코자 의열단이 감행한 상해 황포탄 의거 때 오성륜·김익상에 뒤이은 제3선 저격수로 나섰으나 투척한 폭탄의 불발로 목적달성에 실패했는데, 현장 즉시탈출과 교묘한 변장으로 체포되지는 않았다. 그 후 의열단 기밀부의 일원이 되어 간부로 활약했고, 단내 노선논쟁에서는 사회주의자 및 무정부주의자 단원들에 맞서 민족주의 노선을 고수하였다. 그 후 몇 차례 시도된 의열단의 광역 대규모 거사계획이 여러 이유로 실패함에 길림성 영안현 영고탑에 가 있다가 1925년 7월 폭탄 2개 등의 무기류를 휴대하고 단신 밀입국하였다. 1만원의 자금이 마련되면 일본 도쿄로 직행하여 폭탄거사를 감행하려 해서였다. 그러나 입국 전부터 동정이 밀보되어 경찰의 추적을 받던 나머지 1925년 11월 5일 대구 외곽의 은신처를 급습 당해 체포되고 말았고, 만 1년 후에 ‘경북 의열단사건’으로 신문 지면에 대서특필되었다. 1926년 12월 28일 대구지법에서 징역 13년형을 언도받고 대전형무소로 이송되어 옥고를 겪었다. 옥중에서 얻은 위장병·폐병·인후병 증세가 매우 악화되고서야 1930년 5월에 가출옥되었으나 열흘 만인 5월 29일, 35세의 나이로 세상을 뜨고 말았다. 1962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어 공훈이 기려졌다.
한봉근(韓鳳根, 1894-1958)

한봉근(韓鳳根, 1894-1958) 아호가 금산(錦山)이던 그는 1894년 10월 23일 밀양군 밀양면 가곡동에서 태어났다. 밀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부산상업학교와 일본 후쿠오카상업학교를 1년씩 다니며 수학했다. 20세 때부터 숙부 한춘옥의 운송·잡화점에서 근무하고 있던 중인 1919년 3월, 만주에 가 있으면서 신흥중학교에 다니는 아우 한봉인과의 연락 여부를 탐지코자 가택수색을 나온 순사를 구타하여 상해죄로 기소되고 벌금형에 처해지자 만주행을 결심하고 길림으로 갔다. 거기서 조선독립군정사의 간부로 일하고 있는 황상규의 권유로 7월에 유하현 고산자로 가서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고 1920년 1월말에 졸업하였다. 그래서 1919년 11월 10일의 의열단 창립 모임에 참석하지는 못하였으나, 창단 취지에 호응하여 동참 의사를 미리 표해놓았었기에 창립단원 반열에 서게 되었다. 창단 직후부터 의열단이 추진해간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에 참여키 위해 1920년 3월경 밀입국하여 밀양 본가에 가있으면서 부단장 곽재기로부터 거사 때의 투탄요원으로 지명 받았다. 그런데 서울 등지에서 은신 대기 중이던 단원들이 밀고에 의해 1920년 6월 하순부터 경찰에 속속 체포되고 말아 거사결행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얼마 후 그도 밀양에서 붙잡혀갔으나 1차 조사만 받고 방면되었다. 그 무렵 일시 귀국해 있던 고종사촌 구영필과 동행하여 1921년 봄에 북만주 영안현 영고탑으로 가서 지냈다. 1923년 초에 상해로 가서 의열단 본부에 합류하고 5인 참모부의 일원이 되어, 이후의 거사계획과 그 추진과정에 계속 관여하였다. 1926년 4월 북경과 상해를 오가며 국내의거를 추진 중이던 유림 독립운동가 김창숙으로부터 폭탄 및 권총‧실탄 구입 의뢰를 받아 이행하였고, 나석주‧류자명·이승춘 3인과 함께 거사요원이 되어 동반 입국하기로 했는데 어떤 연유인지 나석주만 12월에 밀입국하여 서울에서 동척·식은 투탄의거를 감행하였다. 이 의거계획의 가담자였음이 드러나 재상해 일본영사관 경찰의 수배를 받았으나, 광동성 광주로 옮겨가 활동하였기에 피체되지는 않았다. 그 후 1928년경에 영고탑으로 돌아가 한춘옥의 농장에서 지내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아 귀국하였고, 내내 부산에서 거주하다 1958년 7월 20일 세상을 떠났다.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Play 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