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의열의불꽃'
의열기념공원
의열기념공원
"의열(義烈)"의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독립운동의 참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전국 최초로 건립된 기념관입니다.
'의열의 불꽃'이라는 주제로 대표적
의열활동 단체인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의
항일의열활동을 구현한 체험관입니다.
의열체험관 예약안내
독립투사의 의열활동을 체험해보세요.
관람시간 : 10:00~17:30 (마지막 입장 16:45)
휴관일 : 1월 1일 / 설날·추석 당일 /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국경일인 경우 개관, 다음날 휴관)
055-359-4733

의열단 창립단원

더보기
곽재기(郭在驥, 1893 ~ 1952)

곽재기(郭在驥, 1893 ~ 1952) 자는 경(敬)이고, 김광삼(金光三)·김재만(金在萬)이라는 가명을 썼다. 1893년 2월 7일 충청북도 청주군 강외면(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상봉리의 농민가에서 태어났다. 향리의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경신학교를 다녔고, 졸업 후 귀향하여 1907년 광남학교(1년 후 청남학교로 개명) 교사가 되었다. 1909년부터 조직되기 시작한 비밀결사 대동청년당(단)에도 가입, 활동하였다. 1919년 3월 2일 청주 일원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했다 하여 피체, 구금되었다가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 결정되어 풀려났다. 동년 7월 만주 길림으로 가서 조선독립군정사 회계과장인 황상규를 만나 작탄투쟁을 위한 청년결사대 조직에 합의하고 구체적 방안을 숙의하였다. 10월에 김원봉이 규합해 온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 및 신철휴·윤세주와 합숙하며 폭탄 제조법과 사용법을 익히고 11월 10일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여 부단장이 되었다. 12월에 김원봉·이성우·이종암과 함께 상해로 가서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를 위한 폭탄 16개와 권총 2정, 탄환 100발 등 무기류를 구입하여 안동현을 거쳐 국내로 밀송, 반입되게끔 하였다. 1920년 3월 20일경 밀입국하여 밀양으로 가서 신철휴·윤세주·한봉근을 투탄결행 요원으로 지명하였고, 서울 공평동 전동여관에 거처를 잡고 거사 지휘소로 삼았다. 경남 창원군 강상진의 집에 숨겨둔 폭탄 13개의 보관 책임자인 이수택에게 조속 결행의 뜻을 수차 전하고 넘겨주기를 요구했으나 석연치 않은 이유로 거부당하여 미뤄지고 있던 중에 6월 20일 서울에서 이성우·윤세주가 은신처 급습을 받아 경찰에 붙잡혀갔음을 알고 급히 피신하여 부산으로 갔다가 7월 5일 체포되었다. 8개월여의 경찰조사와 검사국 예심을 거쳐 재판에 회부되어서는, “재작년 3월 이래로 조국독립을 입과 붓으로는 구할대로 구하고 원할대로 원하였으나 피로써 구한 일은 없었음에서, 무기를 사용하여 혈전을 벌이려 했던 것이다. 우리는 군함도 대포도 없이 오직 폭발탄과 육혈포밖에 구할 것이 없었노라”고 열변을 토하였다.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8년형을 언도받아 마포 경성형무소에서 옥고를 겪고 1927년 1월 만기 출옥하였다. 1952년 1월 10일 별세하였고, 1963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윤세주(尹世胄, 1900 ~ 1942)

윤세주(尹世胄, 1900 ~ 1942) 호는 석정(石正)이고, 잘 알려진 이명은 윤소룡(尹小龍)이었다. 1900년 6월 24일 밀양군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880번지에서 태어나, 이웃집의 약산 김원봉과 죽마고우로 자랐고 평생 동지가 되었다. 밀양공립보통학교와 서울의 오성학교를 졸업하고 밀양의 항일결사 일합사에도 관여하였다. 1919년 3월 13일 밀양면 독립만세시위를 기획, 주도하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길림에서 황상규·김원봉과 재회하고 11월 10일의 의열단 창립에 참여하였다. 창단 직후 기획되어 1920년 3월부터 추진되어간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 거사에 동참코자 국내 잠입한 후 서울 인사동에 은신하며 대기하였다. 그러나 밀고로 인해 6월 20일 경찰에 체포되어 의거 결행은 좌절되고말았다. 징역 7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겪는 중에도 간수들의 부당한 요구에 맞서 굴복시킬 정도의 결기를 드러냈다. 1927년 출옥 후 신간회 밀양지회 설립에 참여하여 총무간사로 활동했고, 민족지로 거듭난 중외일보의 서무부장, 경남인쇄주식회사 이사 등을 역임하며 부산의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다 1932년 중국으로 재망명하여, 남경으로 가서 의열단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제1기생으로 졸업한 후 2기와 3기의 교관이자 ‘김원봉의 오른팔’이 되어, 항일청년투사 양성과 졸업생의 국내·만주 특파공작을 주관하였다.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선전부 상무위원으로서 1935년 통일신당인 민족혁명당이 창립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으며, 창당 후에는 훈련부장과 당보 편집인으로서 다대한 기여를 하니 ‘민족혁명당의 영혼’으로 일컬어졌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상해로 가서 당원들의 지하공작 및 대적선전방송을 지휘하였고, 중앙육군군관학교 성자분교 특훈반 한인학생대의 교관이 되어 항일군가 「최후의 결전」을 작사하고 널리 불리게끔 했다. 이어서 1938년 조선의용대 창설 준비를 도와 성사시키고 정치조 부조장과 훈련주임을 역임했다. 동포들이 많이 살고 무장 항일활동이 가능해질 화북전선으로의 병력 이동을 김원봉에게 강력히 건의하여 승인받고, 1941년 북상지대의 정치위원이 되어 휘하 병력을 이끌고 황하를 건너 태항산 지구로 들어가 대일작전을 벌여가기 시작했다. 1942년 5월부터 대대적으로 개시된 일본군의 소탕전에 맞서는 ‘반소탕전’을 팔로군과 함께 전개하다 피격된 끝에 6월 3일 태항산 장자령에서 숨을 거두어 순국하였다. 1982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중국 하북성 한단시의 진기로예 열사능원에 묘가 조성되어 있다.
김대지(金大池, 1891~1943)

김대지(金大池, 1891~1943) 金大地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호는 일봉(一峰)이고 김태일(金太一)·김치환(金致煥) 등의 여러 이명을 쓰기도 했다. 1891년 10월 7일 밀양도호부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847번지에서 태어났다. 10대 후반에 사립 동화학교를 다녔고, 1910년 경술국치 후 전홍표 교장의 발탁으로 중학과정의 동화학교 교사가 되어 인재양성의 일익을 담당했다. 김원봉·김상윤·최수봉 등이 그때의 제자들이었다. 1913년경 밀양에서 구영필·이수택·황상규 등과 함께 일합사를 설립하여 항일운동 조직으로 운영하다 1918년 2월경 경찰에 체포되었고, 손톱 여덟 개가 뽑히는 고문을 당한 끝에 기소된 후 4개월 징역형을 언도받아 평양감옥에서 복역하였다. 출옥 후 구영필과 함께 만주로 건너가 봉천 등지에서 재류하고 있다가, 1919년 3월경 상해로 가서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임시헌장 제정에 참여했고, 임시정부 내무부의 9인 위원 중 1인으로도 선임되었다. 11월에는 국내조사원으로 밀양에 특파되어 몇몇 재산가들로부터 군자금을 헌납 받아 상해로 갖고 갔다. 1920년 3월, 의열단의 제1차 국내 적기관 일제공격을 위한 무기류 구입을 위해 길림에서 상해로 온 김원봉 등 단원 4인을 도와 폭약과 탄피 구입이 가능토록 해주고, 프랑스조계 보창로의 자기 집에서 폭탄 3개를 완제토록 하였다. 또한 폭탄을 국내로 밀반입코자 안동현으로 우송하는 데도 편의를 제공하였다. 1923~24년에도 상해에서 김원봉에게 의열단의 활동계획에 관해 매번 상의를 받고 의견을 내주는 고문 역할을 맡아했으며, 인각에 능한 특기를 발휘하여 ‘의’(義) 자의 윗변에 해당하는 양(羊)의 형체를 그려 넣은 의열단의 비밀인장도 고안해주었다. 이렇게 밀양 출신 청년 독립투사들의 맏형 격 위치에서 후배들을 이끌고 지도하여 의열투쟁의 새 장을 열게끔 해주고 있던 그는 1926년 문창범의 초청을 받고 러시아로 가려다 구영필의 요청으로 만주 영안현 영고탑으로 가서 머물러있게 되었다. 거기서 한동안 민족유일당운동에 진력하다 1933년 아성현 취원창으로 옮겨가 극빈 속에 한의술을 베풀며 살던 중, 1943년 음력 10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1963년 건국공로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으로 서훈 승격되었다. 취원창의 묘지가 옥수수 밭으로 바뀌어 유해를 찾을 수 없게 되니, 2003년에 경주 인근의 신선사 옆에 유족이 가묘를 조성하였다.
황상규(黃尙奎, 1890~1931)

황상규(黃尙奎, 1890~1931) 아호는 백민(白民)이고 별명이 관운장(關雲長)이었으며, 만주에서는 허택(許鐸)·허옥(許鈺)이라는 가명도 썼다. 1890년 4월 19일 밀양도호부 노하동(현 밀양시 내이동) 957번지의 빈농 가정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학업 이력은 불확실하나, 1909년부터 밀양 읍내의 밀흥야학교와 동화학교, 상동면 고명학교의 교사를 역임했다. 1913년 이래로 항일비밀결사 광복단과 대한광복회, 일합사 조직에 연이어 가담해 활동하다 1918년 2월경 후자의 두 조직이 일경의 추적을 받아 와해되기 시작하자 만주로 탈출, 망명하였다. 1919년 2월 길림에서 대한독립의군부 결성에 참여하여 재무를 맡았고,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 것을 부르짖은 「대한독립선언서」의 서명자 중 1인이 되었다. 동년 4월 의군부가 조선독립군정사로 개편될 때 재무국 회계과장이 되었으며, 남경에서 올라온 처조카 김원봉으로 하여금 유하현 고산자의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여 동지를 규합해오게끔 지도하고, 장차 맹렬한 항일활동을 전개해 갈 청년결사대 조직을 추진하였다. 그런 ‘산파’적 노력의 결과로 11월 10일 의열단이 조직되니 단장 추대를 고사하고 고문 역할만 맡았으며, 12월에는 대한군정서 길림분서(통칭 길림군정서)의 재무부장이 되어 군자금 조달에도 힘을 보탰다. 국내 적기관을 일제히 공격하려는 의열단의 제1차 거사계획에 호응하여 1920년 3월 서울로 몰래 들어와 은신 대기하면서 역시 밀입국한 부단장 곽재기 등의 거사준비를 지도하였다. 그러나 폭탄 16개 등 무기까지 밀반입되어 거사 결행만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밀고로 인해 다른 여러 단원들과 함께 6월 하순에 경찰에 붙잡혀갔고, 모진 고문에도 일체의 자백을 거부하고 1921년 6월 경성지법에서 징역 7년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겪었다. 1926년 출옥하고 이듬해 신간회 밀양지회가 설립될 때 지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다 1929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된 복대표대회에서 신간회 중앙집행위원회 서기장으로 선출되니 본부 서무부장을 겸임하며 활약하였다. 광주학생운동이 발발하자 현지로 내려가 조사활동도 폈으나, 옥중에서 얻은 질병이 도진 탓에 귀향하여 병석에 누웠다가 2년 만인 1931년 9월 2일 영면 별세하였다. 수십 개 사회단체 공동주관의 사회장이 거행되고 많은 조문객이 애도했으리만큼 독립지사들의 정신적 지주로 여겨졌던 그는 조국의 광복과 독립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 바친 이로서 밀양의 진정한 스승이었다. 이에 정부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Play Stop